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

브레이크 없는 먹거리 물가

by modestidea 2025. 2. 15.

국내 먹거리 물가 상승과 정부의 대응

안녕하세요. 요즘 장보기가 점점 부담스러워지고 있다는 느낌, 다들 한 번쯤은 해보셨을 거예요. 최근 들어 국내 먹거리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인상되고 있는데요. 여러 이유가 있지만, 특히 원가 상승 압박을 견디지 못한 기업들이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과 식품업계의 입장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최근 먹거리 물가 인상 현황

올해 들어 다양한 먹거리의 가격이 인상되고 있습니다. 오뚜기는 편의점용 컵밥류 7종의 판매가를 600원 올렸고, 해태제과는 초콜릿이 들어간 10개 제품의 가격을 8.59% 인상했습니다. 햄버거 프랜차이즈인 버거킹도 대표 메뉴인 와퍼를 비롯한 일부 제품의 가격을 100원 올렸죠. 파리바게뜨는 2023년 2월 이후 2년 만에 빵 96종과 케이크 25종의 가격을 평균 5.9% 인상했습니다. 커피 전문점들 역시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는데, 스타벅스, 할리스, 폴바셋 등은 200~400원, 저가 커피 브랜드인 컴포즈커피는 주요 제품 가격을 300원씩 올렸습니다.

이마트24와 세븐일레븐의 PB 커피도 100원씩 올랐습니다. 대상은 소스류 제품 가격을 이미 인상했으며, 롯데웰푸드는 과자와 아이스크림류 등 26종의 가격을 평균 9.5% 인상할 예정입니다. 빙그레도 다음 달부터 커피와 아이스크림 일부 제품의 가격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이처럼 서민 장바구니와 직결된 품목들이 줄줄이 가격을 올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배경

식품업계는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 등 '3고 현상'으로 인해 원부자재와 물류비 등 원가가 상승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합니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원가 부담이 해소되지 않는 한 가격 인상밖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며, "정부가 계속해서 억누르게 되면 풍선 효과를 가져와서 갑자기 더 크게 올리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고 토로했습니다.

또 다른 외식업체 관계자는 "탄핵 국면에서 정부가 인위적으로 억눌러온 가격 인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분위기"라면서도 "원가 압박이 심해 더 이상의 보류는 어렵다. 가격 자체는 정상화하는 과정이지 폭리가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입장들은 가격 인상이 단순히 기업의 이윤 추구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선택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대응과 대책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식품업계와의 간담회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는 11일 국내 주요 식품 업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질 예정입니다. 이는 식품업계를 공식적으로 한 자리에 불러모은 것으로, 정부가 식품 업계의 도미노 가격 인상에 본격 제동을 거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의 가격 개입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합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원가 인상 요인을 가격에 그대로 전가하는 데 있어 속도 조절은 할 수 있지만, 정부가 가격에 개입하는 것은 어차피 지속 가능하지 않은 정책"이라고 말했습니다.

소비자의 반응과 전망

소비자들은 이러한 가격 인상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꼼수 인상'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으며, 정부의 물가 안정 권고 메시지의 파급력이 한계점에 다다랐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식품업계가 정부 물가 안정 기조에 협조할 동력이 꺾였다는 얘기입니다. 그간 가격 인상을 시도하려다 정부 입김에 철회·번복하는 해프닝을 여러 번 연출했었지만, 이번에는 철회나 보류가 어려울 것이라는 분위기입니다.

물가 안정화를 위한 방안

물가 안정화를 위해 정부와 식품업계가 협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식품업계는 소비자 부담을 덜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원가 절감을 위한 기술 개발이나, 소비자에게 부담이 덜 가는 방식으로 가격을 조정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해결책

장기적으로는 경제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 등 3고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 식품업계가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도 안정적인 가격으로 먹거리를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처럼 최근 먹거리 물가 인상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와 식품업계, 소비자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문제들이 잘 해결되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길 기대해 봅니다.